티스토리 뷰
“하청업체 현장에서 사고 났다고? 이제는 본사 면허가 날아갈 수도 있다.”
2025년 여름, 대한민국 건설업계를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공포’다. 붕괴 사고 이후 대통령이 직접 나섰고, 그가 꺼낸 단어는 단순한 행정지시가 아니었다. “면허취소까지 검토하라.” 한 문장으로 대형 건설사부터 중소 시공사까지, 모두가 얼어붙었다. 단순 경고일까, 실제 시행될까, 아니면 정치적 메시지일까? 지금 이 순간 건설업계는 답을 알 수 없는 질문 앞에 서 있다.
1. 현장 사고 하나에 본사 면허까지? “이건 공포정치다”
2025년 7월, 대전의 한 대형 아파트 신축 현장에서 외벽 마감 공사 도중 콘크리트 구조물이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사고 사진과 영상이 퍼지며 여론은 즉각 반응했다.
바로 다음 날,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이례적으로 강도 높은 발언을 했다.
“건설사들의 반복적 부실 시공과 산재는 국민 안전을 위협한다. 국토부는 면허취소까지 포함해 철저한 제재 방안을 검토하라.”
현장은 발칵 뒤집혔다. 이 발언은 마치 “사고 한 번에 기업 문 닫을 수 있다”는 식으로 들렸기 때문이다.
▶ 업계 내부 반응은?
- “사고 방지하려 노력은 한다, 그런데 면허취소는 과하다”
- “하청이 낸 사고로 원청이 책임지라는 건 말이 안 된다”
- “중소건설사는 이 말 한 마디에 금융줄이 다 끊긴다”
- “현장 자체가 리스크인데, 무사고는 불가능에 가깝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렇게 말했다.
“대통령 한마디에 건설사 주가가 흔들리고, 은행에선 ‘이번 정부 기간 동안 신규 대출 보류’라는 통보가 오고 있어요.”
2. 면허취소가 현실이 된다면, 누가 가장 위험할까?
실제로 정부가 건설업 면허를 취소하려면 <건설산업기본법>에 따라 정해진 요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 면허취소 요건 요약
- 중대한 하자 또는 반복된 안전사고
- 고의적 또는 중대한 법령 위반
- 불법 하도급·허위 보고 등
- 과징금 명령 불이행
- 부정청탁, 금품 수수 적발 등
여기서 문제가 되는 건 ‘반복된 사고’의 정의다. 현장 수가 많은 대형 건설사의 경우 전국적으로 20~50곳 이상을 동시 시공 중인데, 이 중 한두 건만 사고가 나도 “반복된 부실 시공”으로 간주될 가능성이 생긴다.
또한 하청 업체의 산재가 ‘원청 관리 소홀’로 판정되면 주계약자인 원청에게 책임이 돌아온다.
결국
- 현장 수가 많을수록,
- 하청 비중이 클수록,
- 사고 기록이 있는 업체일수록
면허 리스크에 더 노출된다.
3. 정치적 메시지인가, 실제 제도화의 신호인가?
업계 일각에선 이번 대통령 발언을 단순한 ‘경고 메시지’로 보려는 시도도 있다. 즉, 정책적 강경 태도를 대중에게 보여주기 위한 정치적 수사라는 해석이다.
하지만 동시에, 복지부·국토부·고용노동부는 내부적으로 ‘산재 책임 강화 제도’ 관련 협의를 이미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 이미 검토 중인 제도 변화 시그널
- 산재 발생 시 건설업 등록 취소 사유 명확화
- 3년 내 2회 이상 중대재해 발생 시 감점 또는 영업정지
- 하청업체 사고에도 원청 ‘공동 책임’ 제도 강화
- 면허 유지 조건에 ‘무사고 요건’ 신설 검토
이러한 변화는 단순 발언이 아니라, 제도 변화의 사전 예고일 수 있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이제는 사고 나면 벌금 내는 시대가 아니라, 사업 자체가 중단될 수 있는 시대가 온다.”
결론: 경고는 끝났다, 이제는 판단과 행동의 시간
“사고 나면 면허 박탈?” 한때는 말도 안 되는 상상처럼 들렸던 문장이 이제는 업계가 실제로 대비해야 할 시나리오가 되었다.
물론 모든 사고가 면허 취소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단 한 번의 반복, 단 한 번의 인명 피해는 이제부터 기업의 존폐를 가를 수도 있다.
건설업계는 이제
- 공사보다 안전을 먼저 고민해야 하고
- 이익보다 책임을 먼저 점검해야 하며
- 위기 관리보다 ‘신뢰 유지’가 생존 조건이 되었다.
“단지 하나가 무너지는 건 사고지만, 신뢰가 무너지면 그건 산업의 붕괴다.”